육아를 위해 직장을 잠시 쉬고 싶은데, 육아휴직 기간이 최대 몇 년인지, 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신가요?
육아휴직은 근로자의 법적 권리이며, 정부에서 급여까지 지원해 주는 제도이므로 제대로 알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오늘은 육아휴직 기간과 급여 지급 기준, 신청 방법까지 총정리해드릴게요! 😊
1. 육아휴직 기간! 최대 몇 년 사용할 수 있을까?
육아휴직 기간은 근로자가 자녀 1명당 최대 1년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✅ 육아휴직 기간 기본 규정
- 자녀 1명당 최대 1년
- 부모가 각각 1년씩 사용 가능 (부부 동시 사용 가능)
- 육아휴직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부모만 사용 가능
📌 예시:
- 첫째 아이 육아휴직 1년 사용 후, 둘째 아이 출산 시 추가 1년 사용 가능
- 아빠와 엄마가 각각 1년씩 사용할 수 있어 최대 2년 육아 가능
2. 육아휴직 기간 동안 급여는 얼마 받을까?
육아휴직 기간 동안 급여는 고용보험에서 지급하며, 월급의 일정 비율이 지원됩니다.
✅ 육아휴직 기간 급여 지급 기준
- 육아휴직 시작 첫 3개월: 통상임금의 80% (상한 150만 원, 하한 70만 원)
- 육아휴직 4개월~12개월: 통상임금의 50% (상한 120만 원, 하한 70만 원)
- 마지막 3개월 급여(25%)는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무해야 지급
📌 예시:
- 월급 300만 원인 경우
- 첫 3개월: 240만 원 지급
- 4~12개월: 150만 원 지급
- 복직 후 3개월분(25%) 추가 지급
📌 육아휴직 기간 급여 추가 혜택:
- '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' 적용 시, 두 번째 육아휴직자는 첫 3개월 급여 100% 지급
- 맞벌이 부부가 번갈아 육아휴직 기간을 사용하면 혜택 극대화 가능
3. 육아휴직 신청 방법
육아휴직 기간은 회사에 신청 후, 고용보험에서 급여 신청을 해야 합니다.
✅ 육아휴직 신청 절차
1️⃣ 회사에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
2️⃣ 회사 승인 후 육아휴직 기간 개시
3️⃣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급여 신청
4️⃣ 매월 육아휴직 급여 지급
📌 신청 기한: 육아휴직 시작 1개월 전까지 회사에 신청하는 것이 원칙!
4. 육아휴직 기간 시 유의사항
✔ 육아휴직 기간 중 해고는 불법 (근로기준법 보호)
✔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무해야 마지막 3개월 급여 지급됨
✔ 육아휴직 후 기존 직무로 복귀 보장
✔ 육아휴직 기간 중 겸직 불가 (다른 회사에서 일하면 급여 지급 중단)
📌 TIP:
- 육아휴직 기간 중 1주에 15시간 미만 단기 근무는 가능 (추가 수입 가능)
- 회사가 육아휴직을 거부하면 고용노동부 신고 가능
5. 육아휴직 관련 자주 묻는 질문
❓ Q. 육아휴직 기간 중 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A. 첫 3개월은 월급의 80%, 이후 9개월은 50% 지급됩니다.
❓ Q. 육아휴직 기간을 두 번 사용할 수 있나요?
A. 가능합니다. 같은 자녀에 대해 분할 사용(2번까지 가능)할 수 있습니다.
❓ Q. 육아휴직 기간 후 복직을 거부당하면 어떻게 하나요?
A. 복직을 거부하면 근로기준법 위반이며,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면 됩니다.
❓ Q. 맞벌이 부부도 둘 다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나요?
A. 네! 부모가 각각 1년씩 육아휴직 사용 가능하며, 동시 사용도 가능합니다.
❓ Q. 육아휴직 중 다른 회사에서 일하면 급여 받을 수 있나요?
A. 아니요. 육아휴직 중 겸직이 적발되면 급여 지급이 중단됩니다.
📌 마무리 – 육아휴직 기간과 급여, 꼭 챙기세요!
육아휴직은 근로자의 법적 권리이며, 급여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이므로 꼭 활용하세요!
✅ 자녀 1명당 최대 1년 육아휴직 기간 가능 (부부 각각 1년 사용 가능)
✅ 첫 3개월 급여 80%, 이후 50% 지급 (상한 150만 원~120만 원)
✅ 육아휴직 기간 후 복직 보장, 사용 거부 시 신고 가능
💡 출산 후 육아휴직을 계획하고 있다면, 미리 회사와 협의하고 고용보험 신청을 준비하세요! 😊
실업급여 하한액 2025! 최소 얼마 받을까?
실업급여를 신청하면 최소한 받을 수 있는 금액(하한액)이 정해져 있습니다.2025년 최저임금이 인상됨에 따라 실업급여 하한액도 달라지는데요!오늘은 2025년 실업급여 하한액과 지급 기준, 계
2.leon-cong.com
'복지 및 지원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수당 받을 수 있는 청년인지 확인하는 방법! (2025년 기준) (0) | 2025.03.23 |
---|---|
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2025, 신청 방법 총정리! (0) | 2025.03.22 |
실업급여 구직활동! 인정받는 방법과 주의사항 (0) | 2025.03.21 |
연차수당 지급 기준 2025년 총정리! (0) | 2025.03.20 |
전세계약 연장시 유의사항! 잘못하면 보증금 못 돌려받는다? (0) | 2025.03.19 |
실업급여 상한액 2025!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 (0) | 2025.03.18 |
산림복지진흥원 혜택 총정리! 무료 프로그램 확인하세요 (0) | 2025.03.17 |
실업급여 하한액 2025! 최소 얼마 받을까? (0) | 2025.03.15 |